공부는 '잃어버린 시간/놓쳐버린 시간'을 갭을 줄여주는 유일한 도구이다.
'공부(Study)' 아마 가장 많이 쓰고 듣는 말중의 하나이지 아닐까 싶다. 영어 'study'의 어원은 라틴어 "studeo"에서 왔다고 한다. studeo의 의미는 '-에 대하여 애정을 가지고 있다', '-을 추구한다','-을 위해 헌신한다'이다. 우리가 생각하고 배워온 공부라는 이미지와는 많이 다르지만, 진짜 우리가 해야할 공부와는 딱 맞는 의미이지 않은가라는 생각을 해본다. 한자어로 공부(工夫)는 학문과 기술을 닦는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단순하게 시험을 위한, 무언가 달성만을 위한 것이 공부가 아님을 우리는 이제 알아야하지 않나 싶다. 초등학교 입학전부터 '공부'라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는 아이들,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여기까지도 12년인데, 대학까지 평균 4-6년을 공부한다. 나 또한 그렇게 거의 17년가까이를 내 인생에서 공부를 한다는 데에 썼다. 그런데도 나는 공부를 했다라는 표현이 참 어색한 것 같았다. 성적도 반에서 2등부터 중간정도 등수, 그리고 몇과목들은 바닥까지 쳐보면서, 잘하는 것도 아주 못하는 것도 아닌 수능등급 등 다양하게 받아본 나 - 특별하게 잘할 것 없던 내가, 허나 이와 달리 대학때는 4년내내 과TOP을 하면서 지내온 시간을 지나면서 '공부'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공부를 잘하고 싶어서 인터넷창에 참 많이도 검색해보고 온갖 카페를 가입해서 '공부법'에 대해서 참 많이도 찾아보았다. 지금도 존재하는 '수.만.휘' (단어도 추억적이다...고등학교를 졸업한지 오래되니)에서도 많은 수기들을 읽으면서 따라해보았다. 하지만 기초도 없고, 흥미가 그렇게 크지않은 공부를 하면서 오랫동안 인내심을 갖추는 것은 너무나도 어려웠다. 게다가 1:1과외 중에도 졸정도로 집중력이 약한 나에게 공부는 너무 높은 벽처럼만 느껴졌다. 역시 할 수 있는 사람만 하는 거구나라고 생각했고, 그래 머리는 타고나는 거야라고 고정관념마저 갖게되었다.
이 부분을 꼭 느껴보셨으면 좋겠다. '나만의 아우라', 다양한 업무 다양한 직업을 지속적으로 사는 나는 같은 나이의 사람에게도 선생님같다라는 아우라를 준다. 어떻게 그렇게 살 수 있냐고 묻는 사람도 많다. 사실 진부한 대답일지 몰라도, 나는 공부한다. 나를 공부하고, 타인을 공부하고 세상을 공부한다.
"정말로 내가 공부해야할 것이 무엇인지 꼭 의문을 가져보세요"
눈에 보이는 성적표말고,마음의 성적표를 달라지게 하고나니 눈에 보이는 인생성적표도 달라지더라구요.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일지도 모르지만, 꼭 공부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요즘 인문학이 유행하는데 -"나"라는 사람에 대해서 공부해보시는건 어떨까요?
'♪ 르코X기록의 힘 > ♩르코X생각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코의 그림일기 - 말의 온도, 말의 힘 (0) | 2017.12.20 |
---|---|
르코의 그림일기 - 생각이 어지러운 날 (0) | 2017.12.18 |
[감정수첩01] 2:25pm '다른 시간'을 사는 사람들 (0) | 2016.10.04 |
독서가 나에게 가져다 준 인생의 3가지 행복 (2) | 2016.04.08 |
메모습관을 갖추면서 얻은 인생꿀팁 3가지 (14) | 2016.04.01 |
글쓰기 좋은 질문 # 1초동안 일어날 수 있는 일 (0) | 2014.08.04 |
우리 꼭 약속하자 (0) | 2013.06.12 |
댓글